심리학 용어로, 가장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가장 잘 기억에 남는 현상을 일컫는 최신 효과(recency effect) 심리학 정의, 예시, 뜻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신 효과(recency effect) 개요
1. 최신효과(recency effect) 심리학 정의, 뜻
최신 효과(recency effect)는 가장 나중에 혹은 최근에 제시된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간혹 ‘신근성 효과’ 혹은 ‘막바지 효과’라고도 불립니다.
2. 최신효과(recency effect) 유래
미국 템플대학교 심리학 교수 로버트 라나(Robert Lana)가 제시한 용어입니다.
참고로 초두 효과(Primacy effect)란 최신 효과의 반대말로 가장 처음에 제시된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 현상입니다. 라나는 메시지에 담긴 내용의 친숙도에 따라 초두 효과 또는 최신 효과가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최신 효과는 관심이 높고 친숙하며 논쟁적인 내용의 메시지일수록 초두 효과가 더 잘 나타나는 데 반해, 비교적 낯설고 무관심한 내용의 메시지일 경우는 최신 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최신 효과(recency effect) 예시
1.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다음 문장을 읽고 사람 A와 B에 대한 인상을 적게 했습니다.
1) 사람 A : 똑똑하고 근면하다. 하지만 충동적이며 비판적이고 고집이 세고 질투심이 강하다.
2) 사람 B : 질투심이 강하고 고집이 세며 비판적이고 충동적이다. 하지만 근면하고 똑똑하다.
순서만 뒤바뀌었을 뿐 같은 내용의 문장입니다.
그런데 피험자들은 B보다 A를 더 좋은 인상의 사람으로 적어 냈습니다.
최신 효과는 가장 처음에 제시된 정보가 인상을 결정, 최신 효과보다 초두 효과가 강하게 일어난 것입니다.
최신 효과는 초기의 정보가 너무 짧게 제시되어 그 기억이 없어졌을 때, 인상 형성을 위한 시간이 상당 시간 고려되어 첫인상만으로 판단하지 않을 때에는 최신 효과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험을 치를 때 마지막 공부했던 단어가 더 기억에 남는 현상, 최근에 얻은 정보에 이끌려 주식투자를 하는 현상 등은 최신 효과의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최신효과 오류
최신 효과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회사에서 근로자의 근무성적을 평가할 때는 최신 효과를 경계해야 합니다.
최신 효과가 작용하면 평가 대상이 되는 전체 근로 기간 성적에 의거하기보다 최근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아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최신효과 활용
최신 효과는 초두효과와 함께 기억과 인지과정에 대하여 밝히고,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 대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집니다.
최신 효과는 광고와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수용자의 메시지에 대한 친숙도, 관여도 등에 따라 초두효과를 염두에 두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초반부에 제시할 것인지, 최신 효과를 목표로 하여 가장 나중에 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